1. 상세 (Edit) (-)
귀에 꽂아서 쓸 수 있도록 소형화된 헤드폰. 유닛 크기가 작아서 휴대성이 매우 좋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헤드폰보다 더 인기가 좋다.(1) 하지만 같은 가격대라면 음질은 이어폰 < 헤드폰 < 스피커 순이다. 보통 과거에는 MP3, 현재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음악을 듣는 용도로 사용한다.
2. 종류 (Edit) (-)
2.1. 발음체에 따른 분류 (Edit) (-)
2.1.1. 다이내믹 드라이버 (Edit) (-)
2.1.1.1. SF 드라이버 (Edit) (-)
대한민국의 소니캐스트라는 기업을 통해 유명해진 드라이버. 다이내믹 드라이버의 변종이다.
2.2. 형태에 따른 분류 (Edit) (-)
2.2.1. 오픈형 (Edit) (-)
외이(外耳)에 걸치는 방식으로 착용하는 이어폰으로, 오픈형 이어폰이라는 말은 사실상 한국식 조어이고 실제 영미권에서는 이어버드(earbud)라고 부른다. 커널형보다 더 낮은 가격으로 더 좋은 소리를 낼 수 있지만, 귀에서 잘 빠지고 소리가 밖으로 줄줄 샌다.
2.2.2. 커널형 (Edit) (-)
오픈형(이어버드형)과 달리 귓구멍 속에 완전히 삽입해서 착용하는 형태. 요즘 이어폰의 대세이다. 소리가 밖으로 잘 새지 않아 차음성에 있어서 유리한 편이지만 같은 금액을 투자하면 오픈형보다 소리가 나쁘다. 그리고 터치 노이즈(마이크로포닉스)가 매우 잘 발생하는데, 여기에 요즘 유행하는 플랫 케이블(2)까지 합쳐지면…
오픈형과 마찬가지로 커널형 이어폰이라는 명칭 역시 한국식 조어로, 영미권에서는 인이어(in-ear)라고 부른다.
오픈형과 마찬가지로 커널형 이어폰이라는 명칭 역시 한국식 조어로, 영미권에서는 인이어(in-ear)라고 부른다.
2.2.3. 무선 (Edit) (-)
블루투스를 이용하여 기기와 직접 연결하지 않는 이어폰. 일반적인 무선 이어폰 외에도 LG전자가 처음으로 선보인 넥밴드형 이어폰, 그리고 2017년 들어 핫 트렌드가 된 코드리스 이어폰 등이 있다.
3. 브랜드 (Edit) (-)
- LG전자
- 소니
- 소니캐스트 : 서울대학교 이신렬 박사가 연구소장으로 재임중인 기업. 5만원 미만에서는 최상의 성능이라는 평판을 받고 있다.
- 필립스
- 비플랫
inter:나무위키:AKG